<1987>영화 비하인드
장준환 감독의 2017년 개봉작입니다. 1987년 초 한 서울대 학생 박종철이 고문으로 사망하게 되면서 그 해 6월 항쟁으로 역사의 흐름을 바꾼 사람들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습니다. 영화의 시작은 과거로 돌아간다는 의미로 시계 소리로 시작합니다. 극에서 대공수사 처장 역의 박처원을 연기한 김윤석과 중앙일보 사회부장 역의 오달수 배우는 박종철 열사의 혜광 고등학교 후배라고 합니다. 그래서인지 오달수 배우는 작은 배역이라도 좋으니 꼭 출연을 하게 해달라고 어필을 했다고 합니다. 또한 치안본부장 역을 맡은 우현 배우는 실제 연세대 재학 당시 민주화운동에 참여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이한열열사의 영정사진을 들고 있는 사진에서 우현 배우가 실제 옆에 있는 사진이 크게 화제가 된 바 있습니다. 감독은 역사적 사실을 기반으로 하는 작품이기에 다큐멘터리 같은 느낌으로 연출하였습니다. 이에 부드러운 카메라 워킹을 자제하고 직접 따라다니며 찍는 핸드헬드 기법과 줌렌즈를 활용한 줌인을 하였다고 합니다. 박종철 열사의 유해를 뿌리는 장면에서 촬영전 묵념으로 그를 추모했습니다. 그날 날씨가 눈이 내리고 너무 추운 날씨라서 걱정을 많이 했는데 장면이 너무나 슬프고 잘 나와서 하늘이 도와준 장면이라 생각이 들었다고 합니다. 김윤석 배우는 이번 영화의 악역이 제일 힘이 들었다고 합니다. <황해>에서의 면가의 악역까지 소화한 그였지만 가상의 인물이 아닌 실제 인물인 그를 해석하고 이해하기 힘들어 고생을 했다고 전해집니다. 역사적 아픔과 다시 꺼내기 힘든 장면들이 많았고 이를 억울하게 떠나간 이들에게 누가 되지 않도록 고증해내기 위한 배우들과 스텝들의 부단한 노력이 완성도 높은 영화를 탄생 시켰습니다.
등장인물과 줄거리
1987년 남영동의 해양연구소에서 이야기는 시작됩니다. 그곳에서 경찰 조사를 받던 한 대학생 박종철이 고문으로 사망하게 됩니다. 의사는 그에게 사망진단을 내리게 되고 그 소식을 들은 대공수사 처장 박처장(김윤석)은 사건 은폐와 시신 훼손을 명령하게 됩니다. 그러나 공안부장 최검사(하정우)는 치안본부의 서류를 의심하고 이를 저지하고 부검을 지시하고 후배를 이용해 언론에 이 소식을 흘리게 됩니다. 상부에서는 말도 안 되는 기자회견까지 하고 언론을 압박합니다. 동아일부 사회부 기자인 윤상삼(이희준)은 이 사건을 의심하고 끈질기게 취재합니다. 이에 최검사가 윤기자에게 박종철군의 검안서를 넘기게 되면서 언론으로 이 사건의 전말이 조금씩 밝혀집니다. 그러나 박처장은 고문에 가담한 공안 경찰 조한경(박희순)을 이용해 꼬리 자르기를 하게 되고 사건을 덮으려고 합니다. 한편 민주화를 위해 '비둘기'역할을 하는 영등포 교도소 교도관 한병용(유해진)이 나오는데 그에게는 조카 연희(김태리)가 있습니다. 연희는 시위 현장에 우연히 있다가 만난 잘생긴 남학생과 마주치게 되고 민주화 운동을 조금씩 알아가면서 변화해가는 시선을 보여줍니다.
1980년대, 격동의 시기. 사건과 배경이 된 영화
대한민국의 1980년대는 정치적, 사회적으로도 많은 변화가 있었던 격동의 시기였습니다. 그래서 이 시기를 모티브로 하여 만들어진 영화들이 많습니다. 1979년 10월 박정희 대통령이 김재규 중정부장에게 암살 당해 18년 정치가 막을 내리게 되고 12.12 쿠데타로 실권을 잡기 위한 전두환의 신군부세력이 권력을 장악하게 됩니다. 이 군사독재를 반대하며 일어난 1980년 '광주 민주화운동' 은 4,300여 명의 피해자들이 발생했고 200여 명의 사상자가 나왔습니다. 많은 희생자가 있었음에도 당시 군의 실권자였던 전두환은 핵심 관련 사항을 모른다고 했습니다. 이 사건을 모티브 또는 배경으로 하는 영화는 <택시운전사>, <화려한 휴가>,<26년>,<박하사탕>등이 있습니다. 전두환의 신군부는 혼란스러운 상황을 안정시키기 위한 다는 목적으로 삼청교육대를 시행합니다. 6만 여명의 국민을 영장없이 체포하고 일부를 군부대에 가두어 가혹행위, 노역을 가했습니다. 이는 김현성 감독의 영화 <나비>에서 언급하고 있습니다. 1981년 전두환이 11대 대통령으로 당선됩니다.
이 시기를 모티브로 한 작품이 최근 개봉한 <헌트>입니다. 1987년 6월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을 다룬 영화가 <1987>이 됩니다. 한편의 영화 같은 시절, 1980년대. 대한민국은 그때 많이 성장하고 또 많이 아픈 시절이었습니다.
댓글